신형 아이폰이 발매되었습니다. 바로 아래의 '아이폰 Xs, 아이폰 Xs MAX'
<출처 : 애플 홈페이지>
신형 아이폰의 특징으로는 화면이 커졌고, 또한 비싸졌습니다. 아이폰 Xs는 5.8인치, 아이폰 Xs Max는 6.5인치.
색상은 실버, 스페이스 그레이, 골드 이렇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가격은 다 같아요.
과연 어디서 사는게 가장 싸게 살 수 있을까요?
1차 출시국 중 미국,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총 10개 국가의 가격을 찾아봤습니다.
1편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의 가격 2편에서는 나머지 국가의 가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1,2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았고 아직 출시 예정일이 확정되지 않아서 애플 홈페이지에는 가격이 안적혀 있습니다.
기사에는 11월 2일 출시가 유력하며 추정컨데 한국에서는 아이폰 Xs Max의 경우 200만원을 넘을 수도 있다고 하네요.
일단 해외 판매 가격을 알기 위해서는 환율을 알아야합니다.
18년 10월 8일자 매매기준율 환율입니다.
국가 |
환율 |
미국 |
USD 1,138 |
유럽연합 |
EUR 1,305 |
일본 |
JPY 10.04 |
중국 |
CNY 164.1 |
홍콩 |
HKD 145.3 |
대만 |
TWD 36.7 |
영국 |
GBP 1,485 |
호주 |
AUD 803.7 |
캐나다 |
CAD 875.8 |
싱가포르 |
SGD 821.6 |
미국
애플 사이트에서 캡쳐한 화면입니다. 위에가 아이폰 Xs, 아래가 아이폰 Xs Max 입니다.
가격이 두개가 있는데 앞에 것은 약정으로 살경우, 뒤에 것은 일시불로 살경우입니다. 우리는 일시불을 볼꺼니 앞에 것은 날려버리죠
기종 |
용량 |
현지가($) |
한화(₩) |
아이폰 Xs |
64G |
999 |
1,136,862 |
256G |
1,149 |
1,307,562 | |
512G |
1,349 |
1,535,162 | |
아이폰 Xs Max |
64G |
1,099 |
1,250,662 |
256G |
1,249 |
1,421,362 | |
512G |
1,449 |
1,648,942 |
한가지 주의점은 미국은 주마다 소비세가 다릅니다.
LA가 속한 캘리포니아주는 소비세가 약 10%정도 되고, 시애틀 바로 밑에 포틀랜드가 있는 오레곤 주는 소비세가 0%입니다. 배송대행지가 포틀랜드에 많이 몰려있는 이유가 바로 소비세가 없기 때문이죠.
즉 같은 아이폰 Xs를 LA에서 산다면 999달러보다 약10%정도 더 높은 가격으로 사게되는 겁니다.
일본
기종 |
용량 |
현지가(¥) |
한화(₩) |
아이폰 Xs |
64G |
112,800 |
1,132,512 |
256G |
129,800 |
1,303,192 | |
512G |
152,800 |
1,532,112 | |
아이폰 Xs Max |
64G |
124,800 |
1,252,992 |
256G |
141,800 |
1,423,672 | |
512G |
164,800 |
1,654,592 |
가격옆에 (税別)라고 적혀있는데 세금은 별도라는 뜻입니다. 즉 세금이 포함되지 않은 택스프리 가격이라는 것이죠. 관광으로 가는김에 사온다면 세금뗀 가격으로 가져올 수 있으니 더 저렴하게 살 수 있겠죠.
일본인 혹은 일본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산다면 현 가격에서 소비세 8%가 더 붙습니다. 가격자체는 미국과 거의 비슷하네요.
중국
기종 |
용량 |
현지가(¥) |
한화(₩) |
아이폰 Xs |
64G |
8,699 |
1,427,505 |
256G |
10,099 |
1,657,245 | |
512G |
11,899 |
1,952,625 | |
아이폰 Xs Max |
64G |
9,599 |
1,575,195 |
256G |
10,999 |
1,804,935 | |
512G |
12,799 |
2,100,315 |
아이폰 Xs Max의 경우는 2백만원이 훌쩍 넘어가네요. 세금이 포함되어 비싸진 것 같습니다. 중국은 택스환급제도가 없어서 적힌 가격 그대로 사야합니다. 타오바오같은 사이트에서 좀더 저렴하게 구입가능할지 모르겠네요.
대만
기종 |
용량 |
현지가(NT$) |
한화(₩) |
아이폰 Xs |
64G |
35,900 |
1,317,530 |
256G |
41,500 |
1,523,050 | |
512G |
48,900 |
1,794,630 | |
아이폰 Xs Max |
64G |
39,900 |
1,464,330 |
256G |
45,500 |
1,669,850 | |
512G |
52,900 |
1,941,430 |
대만은 택스리펀 되는 국가인데 어느 분은 대만애플에서 세금환급을 안해줘서 정가주고 샀다는 분이 있고, 어느 분은 백화점에서 구매했는데 세금환급 받았다는 분이 있네요. 찾아보니 택스리펀 되는 리셀러를 찾아서 사면 환급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애플스토어에서 구입시 세금환급 안될 수가 있습니다. 아이폰 XS 한국판과 모델명이 같은 아시아 국가는 대만과 싱가포르이며 미국과 일본에서 살경우 우리나라에서 리퍼를 받을 수 없다고 하네요.
대만은 소비세 5%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급분 중 14%는 수수료로 떼간다고 합니다. 아이폰 Xs 64G 살경우 세금환급분 5%에 수수료를 내면 NT$ 1,470 정도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택스환급을 받는다면 한화로 1,263,580원 정도가 나오네요.
싱가포르
기종 |
용량 |
현지가(S$) |
한화(₩) |
아이폰 Xs |
64G |
1,649 |
1,354,818 |
256G |
1,889 |
1,552,002 | |
512G |
2,199 |
1,806,698 | |
아이폰 Xs Max |
64G |
1,799 |
1,478,058 |
256G |
2,039 |
1,675,242 | |
512G |
2,349 |
1,929,938 |
1부 마지막 국가 싱가폴입니다. 가격은 대만하고 비슷하네요. 택스리펀드로 소비세(GST) 7%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택스리펀 받는다면 아이폰 Xs 64G 가격은 88,633원을 환급받게되어 1,266,185원으로 살 수 있습니다. 그래도 일본보다는 비싸네요.
한가지 팁. 택스 환급가격 구하는 법은 부가세 빠진 가격에 소비세를 곱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옷 가격이 $10,000(부가세 포함), 소비세 7%면 환급가격은 얼마일까요? 언뜻보면 $700 가 아닐까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정확히 구하자면 먼저 $10,000원에서 소비세 7%를 뺍니다.(10000÷1.07 = 9,345) 그럼 $9,345가 나오죠. 거기서 7%를 적용하면 (9345×0.07) $654 가 나옵니다. 이것이 환급가격.
소비세 포함된 가격(10000) - 소비세 빠진 가격(9345) = 655 이렇게 구해도 됩니다.
다른 5개 국가는 2부에서~~
아이폰 Xs 가격 어느나라에서 사는게 가장 싸게살까?(해외 10개국 비교) - 2부
아이폰 Xr 가격 어느나라에서 사는 것이 가장 저렴할까?(해외 10개국 비교) - 1부
아이폰 Xr 가격 어느나라에서 사는 것이 가장 저렴할까?(해외 10개국 비교) - 2부
애플 아이폰 XS, 삼성 갤럭시 S9, LG G7 THINQ 디자인, 성능 등 주요 스펙 분석